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반려동물의 욕구와 강화

by 후회없이 멋지게 2022. 12. 29.
반응형
SMALL

1.개의 욕구와 동기

사람과 마찬가지로 개들도 욕구가 있습니다. 

개들의 욕구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가)생리적 욕구
첫 번째, 생리적 욕구가 있습니다. 
이 생리적 욕구는 음식을 먹고 싶은 식욕, 종족을 유지하고자 하는 번식욕, 기본적인 배설욕 그리고 자고 싶은 수면욕구등 이 있습니다.

나)안전의 욕구
두 번째로 안전의 욕구가 있습니다.

사람이나 동물이나 모두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하게 지내고 싶은 욕구가 있죠.

무리를 만들어 적으로 부터의 안전 그리고 자신의 영역이나 구역을 표시해 다른 개들이나 동물들로 부터 방해를 받지 않고 싶어하죠.

다)활동의 욕구

세 번째로 활동의 욕구가 있습니다.

이 것은 음식을 먹고 몸에 에너지가 축적이 되면 놀이나 사냥등을 하고 싶은 충동이 생기는 활동하고 싶어지는 욕구이죠.

라)애정의 욕구

네 번째로 애정의 욕구가 있습니다.

개들도 감정이 있습니다. 

그래서 상대로 부터 사랑을 받을 때 안정이 되고 행복감을 느낍니다.

개들 뿐만 아니라 이 세상 모든 것들은 사랑없이 행복을 느끼지 못합니다.

사랑이 행복이고 만물의 생명입니다.

마)기타
이외에도 냄새의 흔적을 찾고 싶은 취적추구욕구등이 있습니다.

 

2.개의 욕구를 해소하는 방법 - 동기물 활용
개의 욕구를 해소 해주고 관심사를 늘려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개의 욕구 동기를 일으키는 동기물을 활용하면 됩니다.

음식을 통해서 식욕을 일으키게 하고 장난감을 통해서 소유욕이나 활동의 욕구를 일으키게 하는 것입니다.
사회적 동물이 개에게 주인이라는 대상은 애정의 욕구를 일으키는 동기물이라고 할 수 있겠죠.

개에게 이 동기물이 충분하거나 더 넘치게 주어지면 그 욕구는 줄어들고 그 동기물이 부족한 상태가  되면 그 욕구는 더 강해진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 이겠죠.^^

3.강화

개들의 기본적인 욕구와 동기를 통해 그 행동 빈도를 늘리는 것을 '강화'라고 합니다.

이 강화의 방법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가 있습니다.

 

1)긍정적 강화 positive reinforcement
긍정적 강화란 말 그대로 어떠한 자극을 '제공'을 통해 개의 행동 빈도를 늘리는 거으로 '양성강화'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앉아'라는 명령에 개가 뒷다리를 구부리고 엉덩이를 땅에 대면 칭찬해주고 쓰다듬어 주거나 간식 등으로 보상을 해주어 앉는 행동을 잘 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2)부정적 강화 negative reinforcement
부정적 강화란 긍정적 강화와 다르게 어떤 자극을 '제공'을 통해서가 아닌 '제거'를 통해서 개의 행동 빈도를 줄이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엎드려'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해 엎드려 명령을 내리면서 목죽을 아래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나중에는 '엎드려' 라면 말을 들으면 이어지는 목이 아래로 당겨지는 충격을 기억하여 개는 엎으리게 됩니다.

그럴 때 더 이상 충격을 가하지 않고 보상을 주게 되면 '엎드려'라는 행동이 강화가 되는 것입니다.

 

4.교육

이러한 개의 기본적인 욕구를 이해하고 또한 그 욕구를 일으키게 하는 동기물을 이용하여 '강화'라는 방법을 통해 우리는 개를 훈련하고 교육시키게 되는 것이다.

사람을 교육 할 때도 그 욕구를 충족 시킬 수 있는 동기물을 제공하거나 제거함을 통해서 교육을 시키기도 한다.

언어가 없고 말을 할 수 없으며 기본욕구에 충실한 동물인 개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말을 통해 이해 시킬 수 없고 이런 강화란 방법을 통해서 사람의 명령을 따르게 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의 목소리의 크고 낮음 그리고 표정등을 통해서도 반복적으로 행할 때 개가 지각하고 알아 듣게 된다.

모든 개가 똑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 반려견이 어떤 성격의 소유자 인지 파악을 먼저 하고 그에 맞는 방법으로 강화시킨다면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LIST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과의 산책  (0) 2023.01.02
처벌을 통한 반려동물 교육  (0) 2022.12.30
카밍시그널(calming signal)  (2) 2022.12.28
고양이의 신체적 특징과 예방접종  (2) 2022.12.27
고양이의 기원과 묘종  (0) 2022.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