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발육발달학의 개념
1) 개념 : 인간의 수정에서 사망까지 신체적, 기능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2) 3개 주요개념
(1) 발육이란 형태적인 증대
- 우리 신체를 이루고 있는 몸이 커 가는 것을 말합니다.
- 발육은 신체 크기의 증가를 말한다. (세포 수, 크기, 세포 사이 물질의 증가)
- 세포 크기는 운동에 의해서 이뤄진다. (생명체는 움직일 때 세포의 크기가 증가합니다.)
- 수의 증가는 세포 분열이다. (세포 분열을 통해서 세포 수가 증가 합니다.)
(2) 발달이란 기능적인 증대
- 우리 몸의 기능이 발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기고 걷고 뛰고 )
- 성숙, 성장과 혼용되기도 한다.
- 연령에 따른 기능의 진보를 의미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몸의 기능이 좋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3) 성숙은 구조의 정밀화
- 우리 신체의 구조가 더욱 정밀화 되는 것을 말합니다.
- 성숙을 향한 속도와 타이밍을 의미
- 신체의 해부학, 생리학, 화학적 변화이다.
- 학습과 유전에 의해 일어난다.
2.신체의 발육발달의 원리
1) 순서성 : 초보적 반사운동 - 수의적 운동 - 능숙한 반사운동의 순서로 발달된다.
( 반사운동 - 기고 - 앉고 - 서고 - 걷고 - 손 동작 )
2) 방향성
- 두부에서 미부의 방향으로 발육발달 (머리에서 꼬리쪽으로 발달)
- 중심에서 말초의 방향으로 발육발달 (몸의 중심에서 말초 방향으로)
- 전체적 운동에서 특수 운동의 방향으로 발육발달 (예를 들어 사지운동을 하다가 손가락운동까지)3) 연속성
3) 연속성
- 저단계에서 고단계로
- 단순에서 복잡으로
- 어설픔에서 세련으로
4) 변용성 ; 유전적 요소 외에 학습과 환경에 의해 바뀐다.
5)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
6) 속도와 정도는 개인차가 있다.
7) 연관성 : 각부분의 발달은 서로 연관적이다.
정신적 발달은 신체적 발달과 밀접하다
3. 신체의 발달과정
1) 신경형 : 대뇌를 중심으로 유아기에 가장 발달.
- 6세까지 성인의 90% 도달
- 14세 성인 수준
2) 림프형 : 편도샘, 림프샘, 가슴샘 등으로 12세까지 현저히 발달.
3) 일반형 : 신체 전체적인 면으로 사춘기까지 가장 발달. (우리몸 전체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말하는 것)
4) 생식형 : 생식에 관련된 기관으로 사춘기 이후 급격히 발육한다.
4. 발육기의 운동처방
(1) 발육기 운동의 의의
- 발육기의 신체활동은 성인보다 더 중요하다.
- 발육기에는 자발적인 운동을 하게 된다. (어린아이들이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 된다)
- 현대문명은 자발적 운동을 제한한다. ( 유치원에서 제한된 운동을 하거나 게임기나 휴대폰등으로 자발적 운동이 제한 됩니다.)
- 발육기의 운동이 갖는 잇점은 다음과 같다.
(2) 발육기 운동의 잇점
- 성인병의 예방 : 비만, 당뇨 등 운동부족으로 인한 병은 발육기에도 나타난다.
- 신체활동의 효과 : 발육촉진, 심신단련, 정서안정, 사회성 습득에 도움이 된다.
- 평생 운동에 대한 습관 : 발육기에 신체활동을 경험하면 평생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운동의 즐거움과 유익을 몸과 정신이 기억하기 때문이다.)
- 운동을 통한 즐거움 체험 : 발육기에 기술, 체력, 승리에 집착하면 역효과가 나온다.(운동의 즐거움을 체험하게 해주어야 한다.) 신체활동의 즐거움을 체험하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5.발육단계별 운동처방 실제
1) 수유기 : 대뇌 발달기로 영양과 수면을 충분히 한다. 적극적인 운동보다 자연스런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2) 유아기 : 조정력이나 민첩성 발달을 위해 마음대로 충분히 놀 수 있도록 한다.
3) 아동기 : 규칙성과 경기성을 교육한다. 종합적인 체력을 단련한다. 다양한 체험을 하도록 한다.
4) 사춘기 : 각자에게 적합한 종목을 찾아내되 편향되지 않도록 한다. 신체의 변형과 성장의 단계이므로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처방사 - 운동과 휴식 (2) | 2023.01.29 |
---|---|
운동처방사 제11강 : 운동과 심신관계 (0) | 2023.01.24 |
운동해부학과 생리학의 이해 (2) | 2023.01.19 |
운동처방의 절차와 실제 - 2 (0) | 2023.01.18 |
운동처방의 절차와 실제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