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운동처방사 - 운동과 소마(SOMA)

by 후회없이 멋지게 2023. 2. 7.
반응형
SMALL

1.몸의 두 관점

1)객관적 관점(3자적 관점)  - 바디(body)

(1) 오감으로 인식한다.

(2) 물질적 속성으로 인식한다. (사람의 몸이나 동물의 몸이나 같은 것으로 생각한다)

(3) 오인의 가능성, 객관적 사실성 공존 (잘못 판단 할 수도 있고 객관적으로 볼 수도 있다)

 

2)주관적 관점(1자적 관점) - 소마 (SOMA)

(1) 오감 대신 고유수용기로 인식한다.

(2) 심신일체적 존재로 인식한다.(몸과 마음은 구별된 것이 아니라는 관점)

(3) 주관적 편향의 염려, 내면적 사실 파악. (똑같은 통증이라도 주관적으로 다르게 느끼고 생각할 수도 있다. )

 

2.바디(BODY) 인식의 문제점

1) 몸과 맘을 분리한다.

*몸과 마음은 분리 될 수 없는 것이다.

2) 몸을 물질적 존재로 인식한다.

*몸은 생명체로 물질이 아니다.

3) 몸의 인격성을 왜곡한다.

*몸은 인간의 본질이며 인격을 지녔다.

4) 몸의 실체에 접근 불가능하다.

*몸의 피상적 모습에 머문다.

 

3.소마(Soma)의 주요 개념

1) 감각운동기억상실증(Sensory-Mentor Amnesia)
습관적인 스트레스, 미사용 등에 의한 근육

움직임 능력의 상실(자전거 타기)

 

2) 감각 깨우기(Sensory Awareness) : 마비된 감각 기관의 능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행위. 

감각 깨우기를 통해 운동능력도 회복할 수 있다. 고유수용감각기를 활용한다.

 

3) 빨간등 반사(Red Light Reflex)

(1) 놀람반응, 도피반응이라고 한다.

(2) 생존과 직결된 원시 반응이다.

(3) 포유류들이 위협 앞에서 하는 반응이다.

(4) 머리에서 다리로 신체 앞면이 수축된다.

(5) 건강에 다양한 악영향을 준다.

 

4) 초록등 반사(Green Light Reflex)

(1) 신체 뒷면의 근육이 수축하는 것이다.

(2) 책임감의 증가와 비례하여 발생한다.

(3) 특히 허리부분의 근육이 과도 수축한다.

(4) 머리, 뒷목, 어깨, 등, 허리, 엉덩이까지 피로와 통증이 유발된다.

 

5) 노인자세와 다크 바이스

(1) 빨간등, 초록등 반사가 모두 발생한다.

(2) 근육의 움직임 자체가 없어진다.

(3) 만성 통증이 발생한다.

(4) 움직임이 둔하고 제한적이다.

(5) 만성 피로가 발생한다.

 

6) 호흡이 만성적으로 얕아진다

- 우울증, 의욕상실, 정신력저하 초래

 

7) 부정적인 자아상이 형성된다

- 자신감 , 능력에 대한 포기

 

8) 고혈압다크바이스가 발생한다.

- 다크바이스 = 온몸을 압박하는 느낌

 

 

4.소마의 운동 방법

1) 몸이 움직일 때, 내적인 느낌에 집중한다.

2) 항상 천천히 움직인다.

3) 항상 부드럽고 편안하게 움직인다.

4) 절대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5) 인내심, 끈기, 긍적적 태도를 지닌다.

 

 

 

 

 

 

반응형
LIST